입법정보

기본정보
 
입법기본정보 조회
의안명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대안)
발의정보 보건복지위원장, 제2024634호(2020. 2. 26.). 제376회 국회(임시회) 의안원문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제안이유
  최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가 확산되어 국민의 불안이 커지면서, 국가의 적극적 대처가 요구되고 있음. 특히 전 세계 29개국에서 73,333명의 확진자가 발생할 만큼 전파력이 강해 감염병 예방과 관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 
  이에 감염병 위기 시 대국민 정보공유의 중요성을 감안해 정보공개의 방법 등에 관한 사항을 법률에 명확히 규정하며, 국가적 차원의 감염병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하여 감염병의심자에 대한 조치 근거를 마련하고, 감염병의 예방, 방역 및 치료에 필수적인 의약외품, 의약품, 물품에 대한 수출과 국외 반출 금지 근거를 신설하고자 함. 또한, 역학조사관의 인력을 확대하며 시장·군수·구청장도 필요한 경우에 방역관 및 역학조사관을 임명할 수 있게 하며, 감염병관리기관의 지정 주체에 보건복지부장관을 추가하며, 감염병병원체 감시 및 검체 수집에 관한 사항을 명확하게 규정하려는 것임. 또한, 감염취약계층에게 마스크를 지급할 수 있도록 하고, 의료인과 약사 등에게 환자의 해외여행력 정보를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감염병으로 인한 국가위기상황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임.

주요내용
  가. 감염병 기본계획에 감염병 위기 대비 비축물자 관리계획을 추가함(안 제7조제2항제2호의2 신설).
  나. 보건복지부장관이 감염병병원체 확인기관의 실험실 검사 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함(안 제16조의2 신설).
  다. 감염병관리에 대한 실태조사 실시와 결과 공표의무를 부과함(안 제17조).
  라. 고위험병원체의 분리ㆍ반입, 고위험병원체 취급시설 및 소독업 등 신고의 법적 성격을 명확히 함(안 제21조제4항).
  마. 감염병위기 시 정보공개 범위, 절차 등을 구체화하여 법률에 명시함(안 제34조의2). 
  바. 감염병관리기관의 지정 주체에 보건복지부장관을 추가함(안 제36조제1항). 
  사. 의약외품등의 수출 또는 국외 반출 금지 근거와 이에 위반할 경우 벌칙 부과 근거를 마련함(안 제40조의3, 안 제77조제3호 신설).
  아. 감염병의심자에 대한 자가ㆍ시설 격리 및 증상 여부 확인 등의 조치근거를 마련하고, 입원ㆍ격리조치를 위반하는 경우에 대한 벌칙을 상향 조정함(안 제42조제2항, 안 제79조의3 등).
  자. 감염취약계층에 감염예방 마스크 지급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함(안 제49조의2 신설).
  차.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의 방역관 및 역학조사관 임명 근거를 마련하고 역학조사관 인력을 확대함(안 제60조제1항 등).
  카. 위치정보 요청권자에 시ㆍ도지사 및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을 추가하고, 감염병 예방 및 감염 전파의 차단을 위하여 보건의료기관에 감염병환자등, 감염병의심자의 이동경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며 의료인, 약사 및 보건의료기관의 장에게 환자의 해외여행력 정보 확인의 의무를 부과함(안 제76조의2).
국회진행상황
 
국회진행상황
소관위 심사 심사정보
국회진행상황
보건복지위원회 , 상정 2020. 2. 20. , 처리 2020. 2. 20. 대안가결
회의정보
국회진행상황
제376회 국회(임시회) 제2차 전체회의 | 회의일 2020. 2. 20. 상정/소위심사보고/의결(대안가결)
법사위 심사 법사위 심사정보
국회진행상황
법제사법위원회 회부 2020. 2. 20. , 상정 2020. 2. 26. , 처리 2020. 2. 26. 수정가결
회의정보
국회진행상황
제376회 국회(임시회) 제1차 전체회의 | 회의일 2020. 2. 26. 상정/제안설명/검토보고/대체토론/의결(수정가결)
본회의 심의 본회의
심의정보
국회진행상황
회의명 제376회 국회(임시회) 제4차 ,상정일 2020. 2. 26. ,의결일 2020. 2. 26. 회의결과 수정가결
정부이송 정부
이송정보
정부이송일 2020. 2. 26.
공포정보 공포일자 2020. 3. 4. | 공포번호 17067 | 공포법률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