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법정보

기본정보
 
입법기본정보 조회
의안명 사업이전에서의 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안
발의정보 송옥주의원 등 57인, 제2110156호(2021. 5. 17.). 제387회 국회(임시회) 의안원문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제안이유

  근로기준법 등 현행 노동관계 법률은 합병, 영업양도 등의 사업 또는 사업장의 변경에 따른 근로관계의 승계에 관한 명문 규정을 두고 있지 않아 관련된 근로관계의 승계문제에 대하여 민법, 상법 등의 해석에 따른 판례법리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임.
  그러나 판례법리로 확립된 영업양도 법리 등은 양도기업과 양수기업 간의 계약 형태ㆍ방식에 따라 근로관계의 승계여부가 달라지거나, 하도급에 따른 하청업체의 변경으로 근로자의 해고를 우회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규율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근로관계의 승계여부를 법원의 해석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법적안정성 역시 부족하다는 지적이 학계 등에서 꾸준히 지적됨.
  반면 유럽연합의 경우 사업이전에 관한 지침을 두어 사업이전에 따른 고용승계를 원칙으로 규정하고 있고, 이에 따라 독일, 영국, 프랑스 등에서는 명문 규정을 통하여 사업이전에 따른 고용승계를 인정하여 근로자를 두텁게 보호하고 있음.
  이에 사업이전에 따른 근로관계 등의 승계를 규정하는 법률을 제정하여 합병, 영업양도 등에 따른 사업 또는 사업장의 변경으로 불안정한 상태에 놓일 수 있는 근로관계를 보다 두텁게 보호하려는 것임.


주요내용

가. 사업이전 및 관련 용어를 정의하고 그에 따라 근로계약 등에 따른 권리의무가 원칙적으로 승계한다고 규정하여 사업주 간의 의사가 아닌 사업이전이라는 사실의 발생을 이유로 근로관계의 승계라는 법률효과가 발생하도록 규정함(안 제2조 및 제8조).
나. 사업이전을 하기 전에 미리 사업주가 근로자대표 협의절차를 거치도록 하고 진행 과정에서 승계대상인 근로자에게 통지하도록 하며 이에 대한 근로자의 승계거부권, 이의신청권 등을 규정함(안 제5조부터 제7조까지, 제9조부터 제11조까지).
다. 사업이전이 있는 경우 기존의 취업규칙이나 단체협상의 근로조건이 근로자 개별 동의로 불리하게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업이전을 이유로 한 해고를 제한함(안 제12조 및 제13조).
라. 사업이전이 있는 경우 기존 회사와 노동조합 간에 체결된 단체협약이 승계되도록 규정함(안 제14조부터 제17조까지).
국회진행상황
 
국회진행상황
소관위 심사 심사정보
국회진행상황
환경노동위원회 회부 2021. 5. 18. , 상정 2021. 6. 24.
회의정보
국회진행상황
제388회 국회(임시회) 제1차 전체회의 | 회의일 2021. 6. 24. 상정/제안설명/검토보고/대체토론/소위회부
제391회 국회(정기회) 제3차 소위회의 | 회의일 2021. 12. 9. 상정
제392회 국회(임시회) 제1차 소위회의 | 회의일 2021. 12. 16. 상정/축조심사
제392회 국회(임시회) 제2차 소위회의 | 회의일 2021. 12. 21. 상정/축조심사
제392회 국회(임시회) 제3차 소위회의 | 회의일 2021. 12. 22. 상정
제392회 국회(임시회) 제4차 소위회의 | 회의일 2021. 12. 28. 상정/축조심사
제392회 국회(임시회) 제5차 소위회의 | 회의일 2022. 1. 4. 상정/축조심사
본회의 심의 본회의
심의정보
국회진행상황
회의명 제회 국회(정기회) 제0차 ,의결일 2024. 5. 29. 회의결과 임기만료폐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