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참여입법센터

나의 의견   전체 의견   공개 의견

  • 오 O O | 2020. 11. 16. 20:45 제출
    가. 기존 모자보건법에 규정되어 있던 낙태 허용요건을 확대하여 형법에 규정함(안 제270조의2)....
    절대 반대합니다
  • 양 O O | 2020. 11. 16. 20:45 제출
    가. 기존 모자보건법에 규정되어 있던 낙태 허용요건을 확대하여 형법에 규정함(안 제270조의2)....
    낙태허용요건 확대를 반대합니다
    
  • 김 O O | 2020. 11. 16. 20:44 제출
    가. 기존 모자보건법에 규정되어 있던 낙태 허용요건을 확대하여 형법에 규정함(안 제270조의2)....
    낙태는 장려  되어선 안됩니다.. 
    살인인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생명을 살려 주세요.. 잊혀지는건 아무것도 결코 없습니다
    낙태허용은 결코 반대 입니다~!!!
  • 김 O O | 2020. 11. 16. 20:44 제출
    가. 기존 모자보건법에 규정되어 있던 낙태 허용요건을 확대하여 형법에 규정함(안 제270조의2)....
    태아도 생명...절대 반대합니다..! 
  • 정 O O | 2020. 11. 16. 20:44 제출
    가. 기존 모자보건법에 규정되어 있던 낙태 허용요건을 확대하여 형법에 규정함(안 제270조의2)....
    임신14주까지 무조건 낙태를 반대합니다
  • 김 O O | 2020. 11. 16. 20:43 제출
    가. 기존 모자보건법에 규정되어 있던 낙태 허용요건을 확대하여 형법에 규정함(안 제270조의2)....
    반대합니다!!
  • 김 O O | 2020. 11. 16. 20:43 제출
    가. 기존 모자보건법에 규정되어 있던 낙태 허용요건을 확대하여 형법에 규정함(안 제270조의2)....
    반대합니다!!
  • 김 O O | 2020. 11. 16. 20:43 제출
    가. 기존 모자보건법에 규정되어 있던 낙태 허용요건을 확대하여 형법에 규정함(안 제270조의2)....
    낙태 관련 법률 개정에 관한 의견
    
    (1) 임산부의 요청에 의한 무조건적인 낙태허용 시기를 임신 14주까지로 한 것을 반대하며, 여성의 건강을 위해서 가능한 짧게 하기를 요청한다.
    
     <이유>
    보건사회연구원의 인공임신중절 실태조사(2018년) 결과 우리나라 여성들의 임신 중절 시기는 평균 6.4주이며, 6주 이하 67.4%, 8주 이하 84%, 10주 이하 90.7%, 12주 이하 95.3%로 대부분 임신 초기에 낙태.
    임신 14주까지 무조건적인 낙태를 허용하면, 대다수 낙태를 사실상 허용하는 결과를 낳음.
    유엔 회원국 195개국 중 ‘임산부 요청’에 의한 낙태를 금지하는 국가는 131개국(67%)으로 전체의 2/3를 차지함.
    이제까지 ‘임산부 요청’에 의한 낙태를 허용하지 않다가 대부분의 낙태를 허용하는 것은 여성의 자기결정권만을 강조하고 태아의 생명권을 무시하기에 헌법재판소 판결의 정신에도 어긋남
    
    산부인과학회는 ‘비의학적 사유의 낙태 허용은 합병증 위험이 증가하고 태아 검사 및 성감별에 의한 낙태가 가능한 임신 14주까지가 아니라, 비교적 안전하며 태아 검사가 어렵고 대부분의 낙태가 이뤄지고 있는 임신 10주(70일: 초음파검사상 태아 크기로 측정한 임신 일수) 미만으로 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출한 바 있다. 또한 보건사회연구원의 인공임신중절 실태조사(2018년) 결과에 의하면, 4주 19.9%, 5주 19.6%, 6주 16.3%로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6주 이내에 67.4%의 낙태가 이루어지기에, 6주 이내로 한정하더라도 임부의 자기결정권을 충분히 보장된다.
    
    (2) 사회적·경제적 이유에 의한 낙태 허용 시기를 24주까지로 한 것을 반대한다.
    
    <문제점>
    헌재 결정문도 24주 아닌 22주 설시(입법 한계를 설정한 것이고 입법자 구속력 없음). ② ‘사회·경제적 사유’는 사실상 모든 사유가 포함될 수 있고(명확성원칙 위반), 상담을 받으면 사유가 있는 것으로 추정(형법안 270조의2②3.)함으로써 사법권 침해 우려.
    임신 23, 24주 태아 생존율이 각 38.9%, 54.5%로 이때의 낙태 허용은 실질적인 생명 포기에 해당 .
    유엔 회원국 195개국 중 ‘사회적·경제적 이유’를 포함하더라도 낙태를 금지하는 국가는 122개국(63%)으로 전체의 2/3를 차지함.
    ‘사회적·경제적 이유’를 포함한 경우의 낙태 허용 국가 중 과반수가 임신 12주 내외임.
    허용 국가 70개국 중에서 10주 이하 9개(13%), 12주 31개(44%), 14주 4개(6%), 15주 이상 19개(27%), 기간 모름 7개(10%)임. 따라서 12주 이하 40개(57%), 14주 이하 44개(63%)로 과반수를 차지함.
    ? 따라서 24주까지 ‘사회적·경제적 이유’를 이유로 한 낙태 허용은 전 세계적인 추세에도 맞지 않으며 과도하다고 봄
    
    형법에 ‘사회적 또는 경제적 이유’라는 추상적인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법률에 요구되는 ‘명확성의 원칙’에 반한다. “사회적 또는 경제적 이유”라는 용어가 법률용어가 아니고 명확성이 없어서 폭넓게 해석이 가능합니다. 형법 개정안에는 사회적 또는 경제적 이유의 구체적 기준을 추단할 만한 어떠한 근거도 찾아볼 수 없고, 모자보건법 역시 마찬가지이며, 하위 규정에 이를 구체화할 위임근거 규정도 두고 있지 않다. 이는 실질적으로 무제한 낙태의 허용의 흐름으로 갈 수밖에 없다. 또한 헌재는 결정가능기간과 사회적ㆍ경제적 사유를 어떻게 조합할지에 대하여 입법재량이 있다고 인정하였다. 그러나 이번 형법개정안에는 이 조합에 대한 어떠한 기준도 제시하지 않고, ‘심각한 곤경’이라는 또 다른 추상적인 용어를 통해 이를 규범화ㆍ구체화 하였다는 점에서 헌재가 인정한 입법재량을 방기한 경우라고 볼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하루 3000명을 낙태할 만큼 많은 낙태가 이루어져 왔다. 2005년 보건복지부 조사에 의하면 현행 모자보건법에서 허용된 사유로 낙태한 경우는 4% 정도인데 그렇다면 나머지 96%는 소위 사회경제적인 사유로 인한 낙태라고 볼 수 있다. 2018년 조사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온 것을 비추어 볼 때, 대부분의 낙태는 사회경제적인 이유로 인한 것으로 보고 있다. 
    대한산부인과학회, 대한산부인과의사회, 대한모체태아의학회, (직선제)대한산부인과의사회로 구성된 ‘낙태법 특별위원회’는 비의학적 사유의 낙태 허용은 임신 14주까지가 아니라, 대부분의 낙태가 이뤄지고 있는 임신 10주(70일: 초음파 검사상 태아 크기로 측정한 임신 일수) 미만으로 해야 한다는 아래와 같은 의견을 공식적으로 발표한 바 있다. 낙태법 특별위원회가 낙태를 임신 10주 미만으로 제안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① 임신 10주 이후의 낙태는 여성의 위험성만 증가시킴
    태아는 임신 10주까지 대부분의 장기와 뼈가 형성되고 이후 성장을 지속한다. 태아가 성장할수록 낙태는 과다출혈과 자궁 손상 등 합병증 위험이 커진다. 참고로 인공임신중절의 방법을 보면, 임신 10주까지 보통 월경적출술(흡입식소파술)이 사용되고, 10주부터는 자궁소파술(D&C)이나, 확장추출술(D&E) 등이 사용되는데 확장추출술(D&E)은 출혈이 가장 심하고 임부에게도 가장 좋지 않은 방법이다. 이러한 임신중기 유산은 임신초기 유산에 비해 자궁천공, 출혈, 패혈증, 양수전색증, 심혈관계합병증 등의 합병증 우려마저 높다. 2011년 보건복지부 조사 보건복지부에서 2011년 10월 연세대학교에 의뢰하여 전국 만 15~44세 가임기 여성 4,000명을 표본추출하여 조사한 ‘전국 인공임신중절 변동 실태조사(2011. 10.)’
    에 의하면, 인공임신중절 전체 시술의 94%가 3개월(12주) 이내에 이루어진 것 2개월 미만이 73.6%로 가장 높았고, 2~3개월 미만이 20.4%로 나타남. 
    을 확인할 수 있고, 2018년 보건복지부 조사 보건복지부에서 2018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의뢰하여 만 15~44세 여성 1만명을 대상으로 2018. 9.~10. 온라인 조사를 실시한 ‘인공임신중절 실태조사(2018년)’
    에 의하면, 인공임신중절 전체 시술의 95.3%가 3개월(12주) 이내에 이루어진 것(평균 6.4주)으로 나타나, 3개월(12주) 이내 수술이 2011년 94%에서 2018년 95.3%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바, 굳이 낙태가 허용되는 기간을 늘리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고 오히려 여성의 위험성만 증가시키는 것입니다.  
    
    ② 임신 10주부터 태아 검사가 이루어지기에, 검사 후에 낙태할 가능성이 높음
    태아 검사를 한 후에는, 태아의 장애나 질환이 있거나 한국 사회의 남아 선호 사상이 많이 사라지긴 했지만 아들이 아니라는 이유로 낙태를 하는 것이 우리 사회의 현실이다. 임신 10주부터 태아 DNA 선별검사를 포함하여 광범위하게 태아 검사가 이뤄지고 있는 우리나라 의료 현실을 감안하여, 비의학적 사유의 낙태는 태아에 대한 의학적 개입, 즉 태아 검사 등이 이뤄지기 전인 임신 10주(70일) 미만으로 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의견도 덧붙였다.
    
    (3) 생물학적 부에 대한 처벌
    2018년 인공임신중절실태조사(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도 66.2%의 응답자들이 낙태법이 개정되어야 하는 이유로 여성만 처벌받는 것이 부당하기 때문이라고 답했습니다. 2020년 10월 6일 낙태관련 설문조사(바른인권여성연합)에서도 낙태에 대한 남성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응답이 88.7%였습니다. 형법 제269조 제1항에서 낙태죄의 주체를 “부녀”로 규정한 것에 대하여, 그동안 일부 여성계에서는 낙태죄가 오로지 여자만을 처벌하는 악법이라며 주장해 왔다. 진정으로 여성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태아의 부모 모두가 낙태죄가 주체가 되도록 하여 처벌의 형평성이 제고될 필요가 있고, 또한 태아 생명의 보호 의무가 부와 모에게 동일하게 부과되는 점을 명시할 필요성이 있다. 그렇지 않더라도, 최소한 여성의 의사에 반하여 낙태를 강요하거나 강하게 권유하는 것을 처벌하여야 한다.
    
    
    (개인)성명 김상종 단체(단체명과 대표자명) 트루스포럼(김은구)
    
    전화번호 010 3180 0445 주소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금화로11번길 10 308동 106호
  • 백 O O | 2020. 11. 16. 20:43 제출
    가. 기존 모자보건법에 규정되어 있던 낙태 허용요건을 확대하여 형법에 규정함(안 제270조의2)....
    절대 낙태법 반대합니다. 
  • 김 O O | 2020. 11. 16. 20:42 제출
    가. 기존 모자보건법에 규정되어 있던 낙태 허용요건을 확대하여 형법에 규정함(안 제270조의2)....
    절대 안됩니다 반대..!
  • 김 O O | 2020. 11. 16. 20:39 제출
    가. 기존 모자보건법에 규정되어 있던 낙태 허용요건을 확대하여 형법에 규정함(안 제270조의2)....
    낙태죄는 폐지되어야합니다 낙태 허용요건을 확대해야 하고 원치않는 출산은 산모와 아기에게 재앙이나 마찬가지입니다
  • 김 O O | 2020. 11. 16. 20:39 제출
    가. 기존 모자보건법에 규정되어 있던 낙태 허용요건을 확대하여 형법에 규정함(안 제270조의2)....
    태아도 생명인데...
    낙태허용요건 확대 절대반대합니다
  • 김 O O | 2020. 11. 16. 20:39 제출
    가. 기존 모자보건법에 규정되어 있던 낙태 허용요건을 확대하여 형법에 규정함(안 제270조의2)....
    낙태 허용 법안에 반대합니다. 선택에는 책임이 따르며 태아도 엄연한 생명입니다. 
  • 지 O O | 2020. 11. 16. 20:39 제출
    가. 기존 모자보건법에 규정되어 있던 낙태 허용요건을 확대하여 형법에 규정함(안 제270조의2)....
    낙태죄 폐지 찬성합니다.
  • 문 O O | 2020. 11. 16. 20:39 제출
    가. 기존 모자보건법에 규정되어 있던 낙태 허용요건을 확대하여 형법에 규정함(안 제270조의2)....
    태아도 사람입니다
    뱃속에 있는 아기는 죽여도 되고 태어난 아기를 죽이는 것은 살인입니까?
    다 똑같이 살인입니다
    14주 이상의 태아도 죽이는 것이 여성인권이 아닙니다
    누구에게도 생명을 죽일수 있는 권리는 없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연약한 태아의 생명을 지켜주십시오
    이것이 진정한 인권이며 태아와 산모의 건강과 생명을 지키는 길입니다
    무분별한 낙태허용은 여성의 몸을 망가뜨리고 결국 출산을 기피하게 만들어서 국가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뿐입니다
    제발 낙태 허용요건을 확대해서 장차 우리나라의 기둥이 될 소중한 태아의 생명이 희생당하지 않도록 막아주시길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 김 O O | 2020. 11. 16. 20:38 제출
    가. 기존 모자보건법에 규정되어 있던 낙태 허용요건을 확대하여 형법에 규정함(안 제270조의2)....
    낙태법 전면 폐지에 찬성합니다. 기본권을 침해하는 낙태죄는 완전 폐지가 되어야 합니다. 자기 몸에 대한 자기 결정권 모두에게 적용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낙태법 폐지에 찬성합니다. 
  • 권 O O | 2020. 11. 16. 20:37 제출
    가. 기존 모자보건법에 규정되어 있던 낙태 허용요건을 확대하여 형법에 규정함(안 제270조의2)....
    낙태죄 폐지 찬성합니다.
    
    우리나라에서 모든 국민은 의료서비스를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유일하게 의료서비스를 합법적으로 거절할 수 있는 대상은 ‘낙태를 원하는 임산부’였습니다.
    임산부, 여성은 이 나라 국민이 아닙니까? 대한민국의 국민이라면 누구나 동등한 의료서비스를 받아야하며,
    낙태 -임신중단- 역시 여성이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내 몸에 대한 결정권은 내가 가지는 것입니다.
    타인이, 국가가 규제하고 통제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낙태가 살인이라면 임산부를 폭행해 태아를 죽게한 폭행, 살인범들은 왜 살인죄로 복역하지 않았습니까? 
    낙태죄의 존속은 대한민국이 여성을 한 나라의 국민이 아닌 임신을 위한 수단으로 여긴다고 생각됩니다. 부디 고통 받는 여성들의 목소리를 받아들여 낙태죄가 폐지되기를 바랍니다.
    덧붙여 낙태죄가 폐지되더라도 병원이나 의료서비스가 부족한 지방에 거주하는 임산부들을 위한 시스템 역시 마련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우리 더 뒤로 가지 맙시다. 앞으로 나아가는 대한민국이 되기를 간곡히 바랍니다.
  • 김 O O | 2020. 11. 16. 20:36 제출
    가. 기존 모자보건법에 규정되어 있던 낙태 허용요건을 확대하여 형법에 규정함(안 제270조의2)....
    절대 반대합니다 
  • 최 O O | 2020. 11. 16. 20:36 제출
    가. 기존 모자보건법에 규정되어 있던 낙태 허용요건을 확대하여 형법에 규정함(안 제270조의2)....
    낙태죄 폐지에 동의합니다. 
  • g O O | 2020. 11. 16. 20:34 제출
    가. 기존 모자보건법에 규정되어 있던 낙태 허용요건을 확대하여 형법에 규정함(안 제270조의2)....
    낙태죄 폐지 찬성합니다. 
 
 W3  CD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