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참여입법센터

보건복지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

나의 의견   전체 의견   공개 의견

  • 김 O O | 2024. 6. 10. 21:51 제출
      영유아 보육 및 교육에 관한 사무를 교육부로 일원화하는 내용으로 「정부조직법」이 개정(법률 제19840호, 2023. 12. 26. 공
    포, 2024. 6. 27. ...
    국가책임 유보통합의 실현은 유아교육과 보육의 질 상향을 전제로 하여야 합니다. 유치원과 어린이집은 기관의 성격과 기능이 다르며, 하나의 부서에서 유아교육과 영유아보육의 모든 사무를 일시에 통합하여 관리하는 것은 유아교육과 영유아보육의 질을 보장하기 어렵습니다. 
    현재 행정안전부의 조직개편 입법예고안이 바로 유아교육과 영유아보육 사무를 한번에 합치는 형식이므로 유아교육과 영유아보육 모두의 질 하락으로 이어질 우려가 큽니다. 따라서 영유아정책국, 영유아정책관 하에 유아교육정책과, 영유아보육지원과로 구분하여 유아교육과 보육 모두의 질과 전문성을 확보할 것을 요구합니다.
  • y O O | 2024. 6. 10. 21:44 제출
      영유아 보육 및 교육에 관한 사무를 교육부로 일원화하는 내용으로 「정부조직법」이 개정(법률 제19840호, 2023. 12. 26. 공
    포, 2024. 6. 27. ...
    현재 행정안전부의 조직개편 입법예고안은 유아교육과 영유아보육 사무의 특성에 대한 고려 없이 부서를 일괄 통합하는 형식으로 직제 개편이 이루어질 우려가 있음.
    
    유치원과 어린이집은 그간 기관의 성격과 기능을 달리 운영해 왔으며, 어린이집은 유치원에 비해 기관의 수가 월등히 많고,이러한 각 기관의 질적·양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유아교육과 영유아보육 사무를 한 부서에서 일괄적으로 통합하게 하는 것은 각각의 전문성을 담보하기 어렵게 만들고 오히려 유아교육과 영유아보육의 질이 저하되는 결과를 낳게됨
    
    따라서 위 직제개편안을 철회함과 동시에'교육복지돌봄지원국' 내에 위치한 유아교육정책과를 '(가칭)유아교육·영유아보육정책실(이하정책실)' 로 격상하고 정책실 내에 유아교육정책과, 영유아보육정책과 사무를 구분하여 부서를 설치할 것을 강력히 요구함
  • 박 O O | 2024. 6. 10. 21:40 제출
      영유아 보육 및 교육에 관한 사무를 교육부로 일원화하는 내용으로 「정부조직법」이 개정(법률 제19840호, 2023. 12. 26. 공
    포, 2024. 6. 27. ...
    영유아는 교육이 아닌  돌봄대상자로서 보육전문가의  영역이고,  3-5세 유아는 교육이 가능한  연령으로  교육전문가가  담당하여 각각의 전문성을 고취하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류 O O | 2024. 6. 10. 21:36 제출
      영유아 보육 및 교육에 관한 사무를 교육부로 일원화하는 내용으로 「정부조직법」이 개정(법률 제19840호, 2023. 12. 26. 공
    포, 2024. 6. 27. ...
    국가책임 유보통합의 실현은 유아교육과 보육의 질 상향을 전제로 하여야 합니다. 유치원과 어린이집은 기관의 성격과 기능이 다르며, 하나의 부서에서 유아교육과 영유아보육의 모든 사무를 일시에 통합하여 관리하는 것은 유아교육과 영유아보육의 질을 보장하기 어렵습니다. 
    현재 행정안전부의 조직개편 입법예고안이 바로 유아교육과 영유아보육 사무를 한번에 합치는 형식이므로 유아교육과 영유아보육 모두의 질 하락으로 이어질 우려가 큽니다. 따라서 영유아정책국, 영유아정책관 하에 유아교육정책과, 영유아보육지원과로 구분하여 유아교육과 보육 모두의 질과 전문성을 확보할 것을 요구합니다.
  • 김 O O | 2024. 6. 10. 21:32 제출
      영유아 보육 및 교육에 관한 사무를 교육부로 일원화하는 내용으로 「정부조직법」이 개정(법률 제19840호, 2023. 12. 26. 공
    포, 2024. 6. 27. ...
    3~5세 유아교육을 위한 유아교육정책국 신설: 3~5세 유아교육에 관한 모든 업무 담당 
    
    현 교육복지돌봄지원국안에 영유아돌봄지원과 신설: 0~2세 영아, 3~5 유아, 초등, 특수 돌봄업무 담당
    (보건복지부 인력은 보육 전문가이므로 교육복지돌봄 지원국 내 영유아돌봄지원과으로 들어가야 합니다.)
    
    이유: 교육과 돌봄업무의 성격이 다르며 0~2세 영아는 돌봄 영역에 해당하므로 교육과 돌봄을 분리하여 각각의 전문성을 살리기 위해서임
  • 이 O O | 2024. 6. 10. 21:28 제출
      영유아 보육 및 교육에 관한 사무를 교육부로 일원화하는 내용으로 「정부조직법」이 개정(법률 제19840호, 2023. 12. 26. 공
    포, 2024. 6. 27. ...
    국가책임 유보통합의 실현은 유아교육과 보육의 질 상향을 전제로 하여야 합니다. 유치원과 어린이집은 기관의 성격과 기능이 다르며, 하나의 부서에서 유아교육과 영유아보육의 모든 사무를 일시에 통합하여 관리하는 것은 유아교육과 영유아보육의 질을 보장하기 어렵습니다. 
    현재 행정안전부의 조직개편 입법예고안이 바로 유아교육과 영유아보육 사무를 한번에 합치는 형식이므로 유아교육과 영유아보육 모두의 질 하락으로 이어질 우려가 큽니다. 따라서 영유아정책국, 영유아정책관 하에 유아교육정책과, 영유아보육지원과로 구분하여 유아교육과 보육 모두의 질과 전문성을 확보할 것을 요구합니다.
  • 송 O O | 2024. 6. 10. 18:40 제출
      영유아 보육 및 교육에 관한 사무를 교육부로 일원화하는 내용으로 「정부조직법」이 개정(법률 제19840호, 2023. 12. 26. 공
    포, 2024. 6. 27. ...
    교육은 교육전문가에게, 보육는 보육사에게.
    유치원은 학교입니다. 학교를 돌봄기관으로 취급하지 마세요
  • 이 O O | 2024. 6. 10. 18:39 제출
      영유아 보육 및 교육에 관한 사무를 교육부로 일원화하는 내용으로 「정부조직법」이 개정(법률 제19840호, 2023. 12. 26. 공
    포, 2024. 6. 27. ...
    3~5세 유아교육을 위한 유아교육정 책국 신설: 3~5세 유아교육에 관한 모든 업무 담당
    
    현 교육복지돌봄지원국안에 영유아 돌봄지원과 신설: 0~2세 영아, 3~5 유아돌봄 담당
    (보건복지부 인력은 보육 전문가이 므로 교육복지돌봄 지원국 내 영유 아돌봄지원과으로 들어가야 합니다.)
    
    이유: 교육과 돌봄업무의 성격이 다 르며 0~2세 영아는 돌봄 영역에 해 당하므로 교육과 돌봄을 분리하여 각각의 전문성을 살리기 위해서임
  • 방 O O | 2024. 6. 10. 13:39 제출
      영유아 보육 및 교육에 관한 사무를 교육부로 일원화하는 내용으로 「정부조직법」이 개정(법률 제19840호, 2023. 12. 26. 공
    포, 2024. 6. 27. ...
    졸속유보통합을 위한 법령 개정을 반대합니다. 국가책임 유보통합의 실현은 유아교육과 보육의 질 상향을 전제로 하여야 합니다. 유치원과 어린이집은 기관의 성격과 기능이 다르며, 하나의 부서에서 유아교육과 영유아보육의 모든 사무를 일시에 통합하여 관리하는 것은 유아교육과 영유아보육의 질을 보장하기 어렵습니다. 
    현재 행정안전부의 조직개편 입법예고안이 바로 유아교육과 영유아보육 사무를 한번에 합치는 형식이므로 유아교육과 영유아보육 모두의 질 하락으로 이어질 우려가 큽니다. 따라서 영유아정책국, 영유아정책관 하에 유아교육정책과, 영유아보육지원과로 구분하여 유아교육과 보육 모두의 질과 전문성을 확보할 것을 요구합니다.
  • 이 O O | 2024. 6. 10. 13:35 제출
      영유아 보육 및 교육에 관한 사무를 교육부로 일원화하는 내용으로 「정부조직법」이 개정(법률 제19840호, 2023. 12. 26. 공
    포, 2024. 6. 27. ...
    국가책임 유보통합의 실현은 유아교육과 보육의 질 상향을 전제로 하여야 합니다. 유치원과 어린이집은 기관의 성격과 기능이 다르며, 하나의 부서에서 유아교육과 영유아보육의 모든 사무를 일시에 통합하여 관리하는 것은 유아교육과 영유아보육의 질을 보장하기 어렵습니다. 현재 행정안전부의 조직개편 입법예고안이 바로 유아교육과 영유아보육 사무를 한번에 합치는 형식이므로 유아교육과 영유아보육 모두의 질 하락으로 이어질 우려가 큽니다. 따라서 영유아정책국, 영유아정책관 하에 유아교육정책과, 영유아보육지원과로 구분하여 유아교육과 보육 모두의 질과 전문성을 확보할 것을 요구합니다.
  • 유 O O | 2024. 6. 10. 09:07 제출
      영유아 보육 및 교육에 관한 사무를 교육부로 일원화하는 내용으로 「정부조직법」이 개정(법률 제19840호, 2023. 12. 26. 공
    포, 2024. 6. 27. ...
    대한민국 교육의 시작점인 영유아를 교사와 학부모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졸속으로 통합하려는 행보에 화가납니다.
    또한 이러한 예고나 조사를 항상, 매번, 휴일 시작 직전에 시작하여 후다닥 끝내려는건 왜 그런가요????
    
  • 김 O O | 2024. 6. 10. 08:20 제출
      영유아 보육 및 교육에 관한 사무를 교육부로 일원화하는 내용으로 「정부조직법」이 개정(법률 제19840호, 2023. 12. 26. 공
    포, 2024. 6. 27. ...
    국가책임 유보통합의 실현은 유아교육과 보육의 질 상향을 전제로 하여야 합니다. 유치원과 어린이집은 기관의 성격과 기능이 다르며, 하나의 부서에서 유아교육과 영유아보육의 모든 사무를 일시에 통합하여 관리하는 것은 유아교육과 영유아보육의 질을 보장하기 어렵습니다. 
    현재 행정안전부의 조직개편 입법예고안이 바로 유아교육과 영유아보육 사무를 한번에 합치는 형식이므로 유아교육과 영유아보육 모두의 질 하락으로 이어질 우려가 큽니다. 따라서 영유아정책국, 영유아정책관 하에 유아교육정책과, 영유아보육지원과로 구분하여 유아교육과 보육 모두의 질과 전문성을 확보할 것을 요구합니다.
  • 이 O O | 2024. 6. 10. 03:39 제출
      영유아 보육 및 교육에 관한 사무를 교육부로 일원화하는 내용으로 「정부조직법」이 개정(법률 제19840호, 2023. 12. 26. 공
    포, 2024. 6. 27. ...
    정부조직법도 맞지 않고
    지금 이 법도 맞지 않다
    
    이러한 바뀌는 내용들을 지금 현장에 있는 수많은 교사들의 의견을 뒤로 한채(모르고 있을 것이다), 일하기 바쁜데 현재 진행되는 내용도 투명하게 알게 하지 않은 채, 날치기 형식으로 진행되고 있음에 매우 불쾌하다.
    
    나중에 뒷감당은 어떻게 하려고 그러는가
    
    영아  유아  초등아   중등아  고교아  그리고 성인이
    바로 서 기능하기 위함은  사회에 이로운 인물들이 되어
    저마다 각자 고유의 빛과 재능을 가지고 발휘할 수 있으려면
    
    특히 영아 /  그리고  유아  때부터 차곡차곡 쌓여와야 가능한 일이다
    
    영유아를 하나로 묶는다는 것은 꽤나 복잡하고 어려운 일이다
    
    영아  와   유아   를 분리해야 바람직하다
    
    전혀 다른 특성의 내용을 하나로 한데 묶으려니 불협화음이 생길 수밖에
    
    부디 이렇게 추진하지는 않았으면 한다
    
    나중에 피보는 건 정작  우리 아이들.  그리고 현장의 수많은 교사들이다.
    
    학부모로서도  돌봄만을 강요한  출산율 일시적 끌어올리기 홍보 정책은
    실패작으로 학부모 가정의 건강치 않음이 우려와 같이 드러나게 되면
    
    피눈물을 흘릴 것이다
    
    
    무엇이든 아이들을 위하는 교육에 있어서 앞날이 뻔히 눈에 보이고 해가 되는 일은 반대를 할 수밖에 없다
    
    이러다가 정부가 지금 이렇습니다 만들어놓고 후에 정부는 불편한 앞날을 눈감고 현상유지로 흐지부지 될까봐 걱정이다
    
    교육계도 힘들고, 양육자도 힘들고, 아이도 힘들텐데 말이다
  • 박 O O | 2024. 6. 9. 23:26 제출
      영유아 보육 및 교육에 관한 사무를 교육부로 일원화하는 내용으로 「정부조직법」이 개정(법률 제19840호, 2023. 12. 26. 공
    포, 2024. 6. 27. ...
    영아보육과 관련하여 과를 새로 개설하고 전문가인 보건복지부 공무원을 배치해주세요. 보건복지부 공무원은 유아교육에 대한 전문성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 노 O O | 2024. 6. 9. 22:18 제출
      영유아 보육 및 교육에 관한 사무를 교육부로 일원화하는 내용으로 「정부조직법」이 개정(법률 제19840호, 2023. 12. 26. 공
    포, 2024. 6. 27. ...
    입법 예고에 반대합니다.
    
    3~5세 유아교육을 위한 유아교육정책국 신설: 3~5세 유아교육에 관한 모든 업무 담당 
    
    현 교육복지돌봄지원국안에 영유아돌봄지원과 신설: 0~2세 영아, 3~5 유아, 초등, 특수 돌봄업무 담당
    (보건복지부 인력은 보육 전문가이므로 교육복지돌봄 지원국 내 영유아돌봄지원과으로 들어가야 합니다.)
    
    이유: 교육과 돌봄업무의 성격이 다르며 0~2세 영아는 돌봄 영역에 해당하므로 교육과 돌봄을 분리하여 각각의 전문성을 살리기 위해서임
  • 박 O O | 2024. 6. 9. 22:04 제출
      영유아 보육 및 교육에 관한 사무를 교육부로 일원화하는 내용으로 「정부조직법」이 개정(법률 제19840호, 2023. 12. 26. 공
    포, 2024. 6. 27. ...
    현 입법예고에 반대하며, 보완할 수 있는 의견을 제시합니다.
    첫째, 3~5세 유아교육을 위한 유아교육정책국 신설을 요구합니다.
    3~5세 유아교육에 관한 모든 업무를 유아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전문인력이 담당할 수 있는 유아교육정책국을 신설해주시기 바랍니다.
    둘째, 현 교육복지돌봄지원국안에 돌봄지원과 신설을 요구합니다. 0~2세 영아, 3~5세 유아, 초등, 특수의 모든 돌봄업무를 담당할 수 있는 돌봄지원과를 신설해주시기 바랍니다.
    교육과 돌봄업무의 성격이 다르며 인력에 대한 양성 과정에도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교육과 돌봄을 완전히 분리하여 각각의 전문성을 살리기 위한 위의 두 방안이 고려되지 않는 현 입안예고에 강력히 반대합니다.
  • 로 O O | 2024. 6. 9. 22:00 제출
      영유아 보육 및 교육에 관한 사무를 교육부로 일원화하는 내용으로 「정부조직법」이 개정(법률 제19840호, 2023. 12. 26. 공
    포, 2024. 6. 27. ...
    3~5세 유아교육을 위한 유아교육정책국 신설: 3~5세 유아교육에 관한 모든 업무 담당
    현 교육복지돌봄지원국안에 영유아돌봄지원과 신설: 0~2세 영아, 3~5 유아, 초등, 특수 돌봄업무 담당
    (보건복지부 인력은 보육 전문가이므로 교육복지돌봄 지원국 내 영유아돌봄지원과으로 들어가야 합니다.)
    교육과 돌봄업무의 성격이 다르며 0~2세 영아는 돌봄 영역에 해당하므로 교육과 돌봄을 분리하여 각각의 전문성을 살리기 위해서임
  • - O O | 2024. 6. 9. 21:53 제출
      영유아 보육 및 교육에 관한 사무를 교육부로 일원화하는 내용으로 「정부조직법」이 개정(법률 제19840호, 2023. 12. 26. 공
    포, 2024. 6. 27. ...
    반대합니다.
  • 김 O O | 2024. 6. 9. 19:34 제출
      영유아 보육 및 교육에 관한 사무를 교육부로 일원화하는 내용으로 「정부조직법」이 개정(법률 제19840호, 2023. 12. 26. 공
    포, 2024. 6. 27. ...
    현재 행정안전부의 조직개편 입법예고안이 바로 유아교육과 영유아보육 사무를 한번에 합치는 형식이므로 유아교육과 영유아보육 모두의 질 하락으로 이어질 우려가 큽니다. 따라서 영유아정책국, 영유아정책관 하에 유아교육정책과, 영유아보육지원과로 구분하여 유아교육과 보육 모두의 질과 전문성을 확보할 것을 요구합니다.
  • 하 O O | 2024. 6. 9. 19:33 제출
      영유아 보육 및 교육에 관한 사무를 교육부로 일원화하는 내용으로 「정부조직법」이 개정(법률 제19840호, 2023. 12. 26. 공
    포, 2024. 6. 27. ...
    현재 행정안전부의 조직개편 입법예고안이 바로 유아교육과 영유아보육 사무를 한번에 합치는 형식이므로 유아교육과 영유아보육 모두의 질 하락으로 이어질 우려가 큽니다. 
    
    따라서 영유아정책국, 영유아정책관 하에 유아교육정책과, 영유아보육지원과로 구분하여 유아교육과 보육 모두의 질과 전문성을 확보할 것을 요구합니다.
 
 W3  CD0301